주중 대정부 방문은 송하진 지사와 최 부지사를 투톱으로 최 부지사가 먼저 20일과 21일 각각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와 고용노동부 차관을 만나 군산공장 정상화 방안 건의와 함께 군산지역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및 고용재난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요청하기로 했다.
송하진 지사는 21일 기획재정부 1차관과 행정안전부 장관을 만나 GM에 대한 정부 대응 전략에 대한 설명을 듣고 적극적인 재정지원을 요구할 계획이다.
송 지사는 이와 함께 전북 3대 현안 법안 조력 및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대안으로 전기차나 자율주행차량 등의 집적화 단지 조성 등을 논의할 방침이다.
또 송 지사는 22일 이낙연 국무총리를 만나 도내 6개 시·군에 있는 134개 한국GM 군산공장 협력업체(군산 81,전북도GM사태해결분주pp 분산 투자 pp 익산 23, 김제 11, 완주 8, 전주 6, 정읍 5)의 애로사항을 전달하고 정부의 전폭적 지원과 대책마련을 요구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전북도는 이날 유관기관과 전문가, (협력업체가 소재한) 6개 시군 관계자들로 구성된 위기대응 현장지원단을 발족한 뒤 첫 연석회의를 열었다.
위기대응 현장지원단은 1단장, 1책임관, 4개팀 35명으로 구성됐으며, 이들은 각각 1, 2, 3차 협력업체들을 상대로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역 여론을 모아 전방위적 지원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최 부지사는 “군산공장에서 생산됐던 올란도나 올뉴 크루즈는 80% 이상이 유럽 수출 품목으로 GM이 유럽시장을 철수하면서 공장가동률이 20% 이내로 떨어졌다”며 “장기적으로 생산가능한 차종(신차)을 군산공장으로 유치하는 게 쟁점으로 한국GM에 대한 정확한 내부 상황을 파악해 정상화를 이끌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